4주차 테스트 질문
한영1
Author
이지우
Date
2025-04-06 13:59
Views
28
9번 질문에서 답이 5번이라고 했는데 abstract reasoning은 logical set가 아니라 정해지지 않고 추상적인건데 왜 맞는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내용에서 knowledge acquisition이 어느 부분에서 나온건지 잘 모르겠어요
Total 8
Number | Title | Author | Date | Votes | Views |
8 |
4주차 테스트 질문 (1)
이지우
|
2025.04.06
|
Votes 0
|
Views 28
|
이지우 | 2025.04.06 | 0 | 28 |
7 |
어휘질문 (1)
김채연
|
2025.04.03
|
Votes 0
|
Views 24
|
김채연 | 2025.04.03 | 0 | 24 |
6 |
Psychology(4) 질문 (1)
성연준
|
2025.03.25
|
Votes 0
|
Views 41
|
성연준 | 2025.03.25 | 0 | 41 |
5 |
2주차 숙제 질문 (1)
김채연
|
2025.03.25
|
Votes 0
|
Views 35
|
김채연 | 2025.03.25 | 0 | 35 |
4 |
2주차 Hard 16p 질문 (1)
이은채(독)
|
2025.03.25
|
Votes 0
|
Views 38
|
이은채(독) | 2025.03.25 | 0 | 38 |
3 |
1주차 어휘3단계 hard (1)
김채연
|
2025.03.24
|
Votes 0
|
Views 34
|
김채연 | 2025.03.24 | 0 | 34 |
2 |
1주차 hard 문제 질문 (1)
김채연
|
2025.03.24
|
Votes 0
|
Views 37
|
김채연 | 2025.03.24 | 0 | 37 |
1 |
교재 질문 (1)
김채연
|
2025.03.20
|
Votes 0
|
Views 45
|
김채연 | 2025.03.20 | 0 | 45 |
본문에 "Instead, only stable, abstract, logical, universal categories could function as object of knowledge."라는 문장이 있어.
즉 abstract, logical 둘 다 category의 속성이야.
그리고 이러한 카테고리가 "function as object of knowledge" 한다는 것이 곧 지식 습득을 의미해.